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부모 재산 증여 vs 사망 후 상속, 어느 쪽이 유리할까?

by argory 2025. 5. 11.
반응형

부모의 재산을 생전에 증여받는 것이 유리할까, 아니면 사망 상속받는 것이 나을까? 증여세와 상속세의 차이점, 절세 전략, 실제 사례를 통해 비교 분석합니다.

1. 증여와 상속의 기본 개념

  • 증여살아있는 부모가 자녀에게 재산을 넘기는 것을 말하며, '증여세'부과됨.
  • 상속부모가 사망한 재산이 자녀에게 자동으로 이전되는 것으로, '상속세'부과됨.

둘은 시점과 과세 기준, 절세 전략 등에서 차이가 있다.

2. 세금 측면에서의 주요 차이점

구분 증여세 상속세
과세 대상 증여 당시의 재산가액 사망 시점의 전체 재산가액
공제 인별 10년간 기준: 자녀 5천만 원, 배우자 6 기본공제 5원, 배우자 공제 최대 30
세율 누진세 10%~50% 누진세 10%~50%
신고 기한 증여일로부터 3개월 이내 사망일로부터 6개월 이내
 

➡️ 상속은 공제 범위가 넓지만, 자산이 경우 부담도 함께 증가
➡️ 증여는 조기에 분산하면 절세 효과 가능


3. 생전 증여의 장단점

장점

  • 공제 한도를 활용해 여러 차례 나눠서 세금 줄이기 가능
  • 사전 계획으로 자산 분배가 명확
  • 자녀의 필요 시기에 맞춰 재산 지원 가능

단점

  • 10단위로 공제 한도 제한
  • 증여 후에도 부모가 자산 관리에서 손을 떼야 하는 심리적 부담
  • 자산 가치가 상승할 경우, 미래 절세 기회를 놓칠 있음

4. 사후 상속의 장단점

장점

  • 배우자 공제 일괄 공제 등으로 높은 공제액 확보 가능
  • 자산 전체를 평가하고 정산하므로 절차가 일괄적
  • 부동산 실물자산 가치가 낮을 절세 가능

단점

  • 갑작스러운 상속으로 분쟁 소지 증가
  • 신고와 납부 기한(6개월)짧고, 절차가 복잡
  • 가업이나 부동산 상속 자금 확보의 어려움

5. 실제 사례 비교

사례 ①: 아버지가 아들에게 현금 3증여

  • 5천만 공제 후, 2.5억에 대한 증여세 발생
  • 4,200정도의 세금 부담 (세율 20% 기준)

사례 ②: 동일 자산을 상속

  • 기본공제 5적용으로 상속세 "0원" 가능
  • 단, 다른 재산 합산 과세 대상 있음

➡️ 현금만 상속받는 경우, 상속이 유리
➡️ 재산이 많고, 장기 분산 가능하면 증여가 유리


6. 절세 전략

  1. 10주기 증여 공제 활용하여 분산 증여
  2. 가업상속공제이용해 최대 500억까지 비과세 가능
  3. 보험 상품활용한 상속세 재원 마련
  4. 배우자·손자녀에게 나눠 증여하여 세율 분산
  5. 자산의 시세 변동성 고려하여 시점 선택

7. 결론

생전 증여가 유리한 경우

  • 자산을 조기에 분산하고자
  • 절세 계획을 장기적으로 수립 가능할
  • 증여 공제를 충분히 활용할 있을

사후 상속이 유리한 경우

  • 자산이 5이하이거나, 배우자 공제 범위 내일
  • 절차적 복잡성을 피하고 싶을
  • 고가 부동산 자산 가치가 불안정할

➡️ 결국, 가족의 상황과 자산 구조에 따라 선택은 달라질 있다.
➡️ 재산이 많다면 사전 증여와 사후 상속을 적절히 병행하는 분산 전략이 가장 효과적이다.

 

2025.02.18 - [분류 전체보기] - 2025년 상속세 개정안: 주요 변경 사항 및 절세 전략

 

2025년 상속세 개정안: 주요 변경 사항 및 절세 전략

2025년부터 상속세 제도에 중요한 변화가 예정되어 있습니다. 이번 개정안은 상속세율 조정과 공제 혜택 확대를 통해 납세자의 부담을 완화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아래에서 주요 변경 사

argory.com

2025.02.18 - [분류 전체보기] - 2025년 양도소득세 개정안: 주요 변경 사항 및 절세 전략

 

2025년 양도소득세 개정안: 주요 변경 사항 및 절세 전략

2025년부터 양도소득세 제도에 중요한 변화가 예정되어 있습니다. 이번 개정안은 다주택자에 대한 양도세 중과 유예 연장, 금융투자소득세 폐지, 주식 증여 후 양도 시 이월과세 적용 확대 등을

argory.com

 

반응형